dict 자료형 정렬하기
정렬시 기본적으로 key 값을 기준으로 정렬된다. In [1]: z = {'C' : 4,'B' : -2, 'D' : 0, 'A' : 3} sorted(z) Out[1]: ['A', 'B', 'C', 'D'] In [2]: sorted(z.keys()) Out[2]: ['A', 'B', 'C', 'D'] dict.values()를 정렬하면 value값만 정렬 가능 In [3]: sorted(z.values()) Out[3]: [-2, 0, 3, 4] dict.items() 를 정렬하면 key와 value를 엮은 튜플을 key를 기준으로 정렬 In [4]: sorted(z.items()) Out[4]: [('A', 3), ('B', -2), ('C', 4), ('D', 0)] 정렬된 결과를 다시 dict로 ..
2022. 12. 5.
list.sort()와 sorted()의 차이, key 인자 활용
list.sort()와 sorted()의 차이, key 인자 활용¶ 1. list.sort()¶ 원본 리스트의 순서를 변경함 리스트에만 사용 가능 리스트 내부에 길이를 가진 객체가 있으면(리스트, 튜플, 문자열 등) 앞의 원소부터 순서대로 비교해 정렬 In [12]: # 원본 리스트의 순서를 변경 x = [6, 0, -8, 2] x.sort() print(x) [-8, 0, 2, 6] In [11]: # 리스트가 아닌 객체에는 사용 불가능 x = (6, 0, -8, 2) x.sort() print(x) --------------------------------------------------------------------------- AttributeError Traceback (most recent ..
2022. 12. 4.
백준 11729번 : 하노이의 탑 이동 순서 (Python)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9 def hanoi(n, start, end) : if n == 1 : print(start, end) else : hanoi(n-1, start, 6 - start - end) print(start, end) hanoi(n-1, 6 - start - end, end) n = int(input()) print(2**n - 1) hanoi(n, 1, 3) n은 전체 원판의 수, start는 옮길 원판이 꽂혀있는 막대의 번호, end는 원판을 옮길 막대의 번호이다. 총 n개의 원판이 있을 때, 전체 과정은 크게 3단계로 구성된다. 1. n-1 개의 원판을 start도 end도 아닌 제 3의 막대(이 막대의 번호는 6 - start -..
2022.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