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0844번 : 쉬운 계단 수 (Python)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4 n = int(input()) sols = [[0] * 10 for _ in range(n+1)] sols[1] = [0, 1, 1, 1, 1, 1, 1, 1, 1, 1] for i in range(2, n+1) : sols[i][0] = sols[i-1][1] sols[i][9] = sols[i-1][8] for j in range(1, 9) : sols[i][j] = sols[i-1][j-1] + sols[i-1][j+1] print(sum(sols[-1]) % 1000000000) k가 길이 n인 계단수일 때, 1의 자리가 0인 k의 개수는 1의 자리가 1인 길이 (n-1)인 계단수의 개수와 같다. 마찬가지로, 1의 자리가..
2022. 12. 16.
다차원 리스트 값 바꿀 때 여러 줄이 같이 바뀐다면
다차원 리스트 값 바꿀 때 여러 줄이 같이 바뀐다면¶ 일반적으로 다차원 리스트에서 값을 변경할 때는 인덱스를 지정해 원하는 값을 넣어주면 된다. In [21]: x = [[3, 5, 6, 7], [-3, 0, 4, 5], [-9, 7, 8, 1]] print(x) [[3, 5, 6, 7], [-3, 0, 4, 5], [-9, 7, 8, 1]] In [22]: x[2][1] = 99 print(x) [[3, 5, 6, 7], [-3, 0, 4, 5], [-9, 99, 8, 1]] 그러나 모든 값이 0인 3 * 4 리스트를 다음과 생성하니 하나의 값만 바꿨는데도 여러 줄의 값이 한꺼번에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In : y1 = [[0] * 4] * 3 print(y1) [[0, 0, 0, 0], [0, 0..
2022.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