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5 백준 1110번 : 더하기 싸이클 (Python)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110 N = int(input()) initial_N = N # 최초의 N i = 0 while True : b = (N // 10) + (N % 10) # b는 N의 자릿수 합. N // 10 은 십의 자리수, N % 10 은 일의 자리 수 N = 10 * (N % 10) + (b % 10) # 새로운 N. 기존 N의 일의 자리 수가 새로운 N의 십의 자리수, b의 일의 자리 수가 새로운 N의 일의 자리수 i = i + 1 # 현재 사이클 횟수 if N == initial_N : print(i) break # 최초의 N과 같아지면 사이클 중지 2022. 10. 7. 백준 2588번 : 곱셈 (Python)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2588 A = input() B = input() print(int(A) * int(B[2])) print(int(A) * int(B[1])) print(int(A) * int(B[0])) print(int(A) * int(B)) B의 1의 자리 * A, B의 10의 자리 * A, B의 100의 자리 * A 이런 식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B를 정수로 변환하지 않은 문자열 상태에서 1의 자리, 10의 자리, 100의 자리 숫자를 문자로 인덱싱한 후 정수로 변환하여 A에 곱해준다. 2022. 10. 6. 백준 1000번 : A + B (Python)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 + b) input() 값을 문자열로 입력 받는 함수 split() 함수를 사용하면 괄호 안의 값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잘라 리스트로 입력받는다. 괄호 안을 비워두면 공백을 기준으로 잘린다. 이 문제에서는 두 변수에 각각 값을 저장해야 하므로 a, b = input().split() 을 입력한다. map(적용할 함수, iterable 객체) 다음으로 a와 b에 문자열로 입력된 값을 정수로 변환해야 한다. 두 가지 방법이 있다. map 함수는 iterable 객체의 각 요소에 함수를 적용한다. iterable 객체는 하나씩 return이 가능한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등의 자료형 객체를 뜻한다. input으로 입력한 a와 b 변수를 .. 2022. 10. 5. 이전 1 ··· 11 12 13 14 다음